본문 바로가기
커리어연구소

마케팅 직무 종류가 너무 많아서 어려워하는 취준생을 위한 직무가이드

by 라세레나 2020. 9. 3.

마케팅 직업, 어떻게 시작하나요?

 

 

마케터로 일한지 N년차, 주변 후배들이 가끔 커리어 관련 상담을 하거나 종종 카페같은데 취준생들이 마케터가 되고싶다는 조언을 구하는 글을 보는데요.

저부터가 어쩌다보니 마케터로 일하고있지만 취업할때 막막했던 기억이 있어 미약하나마 도움이 될까하여 마케팅 직업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물론 이 정리글은 인터넷의 수많은 글들과 모비인사이드의 글을 포함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주관이 듬뿍 들어간 글이라는걸 읽기전에 참고해주세요.

*모두의 상황과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제가 쓰는 글이 정답은 아니에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리플달아주세요!

 

 

마케팅, 홍보 다 같은거 아닌가요?

마케팅 직업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질문하나!

"마케팅, 광고, 홍보, 다 같은거 아닌가요?"

마케팅, 광고, 홍보 다양한 용어가 있고 많이들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기본적인 차이점을 알고 시작합시다.

네이버 지식백과를 인용해보면 하기와 같습니다.

 

마케팅은 "생산자가 상품 혹은 용역을 소비자에게 유통시키는데 관련 된 경영활동. 더 정확하게는 개인 및 조직의 목표를 만족시키는 교환의 창출을 위한 아이디어나 상품 및 용역의 개념을 정립하고, 가격을 결정하며, 유통 및 프로모션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라고 한다.

 

그렇다면 광고/홍보는?

 

소비 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상품의 판매나 서비스의 이용 또는 기업이나 단체의 이미지 증진 등을 궁극 목표로 이에 필요한 정보를 매체를 통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전달하는 모든 행위라고 한다. 선전과 유사하지만, 선전이 주로 위에서 아래로의 정보 전달 활동이며 또한 그 정보가 때때로 과장, 왜곡되어 일방적으로 어느 특정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홍보와 다르다. 그런한 의미에서 PR (Public relations)와 같은 의미로 쓰기도 한다.

 

쉽게 얘기를 하면

마케팅은 상품이 소비자에게 전달 될 때까지의 모든 행위를 포함하며 판매를 목적으로 한다고 보면 되구요.

광고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쌓는걸 목적으로 시작해서 궁극적으로 판매에 도움이 되게끔 하는 행위로 TV광관 신문광고 등이 이에 포함입니다.

홍보는 소비자에게 제품 자체를 홍보하는 목적으로 뉴스 기사 등을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많은 사람들이 마케팅을 직업으로 가지려면 전공이 중요한지 많이 묻곤 하는데 이건 사람마다 회사마다 케바케인것 같습니다.

상관이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꼭 전공이 경영이나 마케팅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주제는 추후에 다시 한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마케팅 종류, 참많죠잉? 

 

https://www.ncs.go.kr/unity/th03/selectKeywordSearch.do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블라인드채용

NCS 메인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및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유용한 컨텐츠를 만나 보세요

www.ncs.go.kr

마케팅 종류가 너무나도 많고 어려워서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모르겠다, 하는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

이 밑의 내용은 개인적인 경험과 NCS의 마케팅 학습모듈과 모비인사이드의 내용을 참고했습니다.

여기서 NCS에서 마케팅을 검색하면 약 635개의 마케팅 관련 내용이 나오는데요 이중에 제가 경험해보고 대중적인 몇가지만 선택해봤어요.

 

 

브랜드 마케팅=브랜드 매니저

흔히 브랜드 매니저라고 불리는 브랜드 마케팅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쉽게 말하면 내 자식(브랜드 혹은 제품)을 처음 탄생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성장하는 과정을 직접 다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회사마다 경험하는 업무의 스콥이 다를 수는 있지만 소비재의 경우 보통 시장조사 및 제품 기획부터 브랜드 마케팅, 프로모션 등등 모든 업무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아요. 브랜드는 해외 브랜드나 국내 브랜드일수도 있고 종류가 워낙 방대하고 넓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브랜드 마케너는 보통 본사(브랜드)의 소속이고 대행사에서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브랜드 매니저가 어떤일을 하는지 더 자세한 내용은 모비인사이드의 글을 참고하시면 나옵니다.

 

http://www.mobiinside.com/kr/2017/07/28/marketing-marketeer-brandmanager/

 

[중딩은 모르는 마케팅 이야기] (4) 마케터 혹은 브랜드 매니저 되는 법

헬스밸런스 김윤태 CMO의 칼럼을 모비인사이드에서 소...

www.mobiinside.com

https://www.mobiinside.com/kr/2017/08/04/marketing-brand-manager/

 

[중딩은 모르는 마케팅 이야기] (5) 브랜드 매니저는 어떤 일을 할까?

헬스밸런스 김윤태 CMO의 

www.mobiinside.com

 

디지털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은 큰 회사의 마케팅 팀에는 인하우스로 디지털 마케팅이라는 포지션이 있는 경우도 있고 작은 회사의 마케팅의 경우 브랜드 매니저가 모든일을 다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혹은 디지털광고대행사에서 디지털 마케터가 될 수도 있구요.

디지털 마케팅의 역할이 점점 커지면서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중요도와 깊이 있는 이해도가 요구 되는 추세인데요.

예전에는 전통적인 채널에서 진행 되던 마케팅 활동들이 온라인으로 넘어오고 유통 구조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의 비중이 중요하게 되면서

디지털 마케팅을 빼놓고 마케팅을 진행하는 회사가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온라인 판매를 할 수 없는 제품" 의 브랜드 매니저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나 검색 광고 등은 여전히 커버를 했었으니까요.

디지털 마케팅에는 단순히 소셜 미디어 관련 된 활동들도 있겠지만 검색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등 온라인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커버한다고 보시면됩니다.

 

https://www.mobiinside.com/kr/2019/03/14/digital-marketing/

 

퍼포먼스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팅은 유통쪽에는 거의 없고 주로 스타트업에 있는 포지션인데요. 보통 제품은 앱이나 서비스고 성과 측정이 가능한 툴로 마케팅을 합니다. 사실 이부분은 잘 접해보지는 못했지만 예전에 앱 마케팅 수업을 들었던 경험을 토대로 보면 데이터가 중요한 포지션인거같아요.

성과 측정이 수치화 되기때문에 전통적인 채널의 마케팅 접근 방식과는 다르고 ROAS 등 지표를 볼줄 알아야합니다.

 

https://www.mobiinside.com/kr/2018/12/12/magictbl-performance/

 

[데이터로 보는 마케팅 인사이트] 현재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필요한 역할

퍼포먼스 마케팅, 고객 이해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    ...

www.mobiinside.com

 

컨텐츠 마케팅

컨텐츠 마케팅은 요즘 뜨고있는 포지션인것 같은데요. 주 업무는 마케팅에 필요한 컨텐츠를 만드는 직업입니다. 디지털 마케팅을 하기 위해서도 컨텐츠가 필요하고 작은 회사는 한사람이 다 하는 경우도 있지만(=은 나) 대부분 컨텐츠를 전문적으로 기획하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크리에이티브가 상당히 많이 필요한 자리로 요즘 트렌드에 민감해야 할 것 같아요. 디자인적인 감각이 있다면 실무에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mobiinside.com/kr/2017/09/29/marketingtalk-hmall/

 

[조현호의 마케팅 필드 Talk] (1) 콘텐츠 마케팅과 E-커머스…현대홈쇼핑 Hmall

어떻게 하면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된 마케팅을 할 수 있을까? 마케터라면 누구나 한번 쯤 해봤을 고민입니다. 아무리 고민해도 도무지 답이 보이지 않는 문제인데요. 앞으로 [마케팅 필...

www.mobiinside.com

 

바이럴 마케팅 

아마 마케팅 하면 일반적으로 허들 없이 가장 많이 하는 마케팅이 바이럴 마케팅이 아닐까하는데요. 대행사가 블로그나 SNS 등을 통해 바이럴, 즉 홍보를 하는 일을 담당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보통 의료마케팅에서 많이 하는거 같은데 저도 대행사 써서 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고 온라인 마케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업무라고 생각해요. 글쓰기 능력이 요구되며 제품이나 브랜드를 어떻게 바이럴(입소문)을 낼지 고민해야하는 업무입니다.

 

https://www.mobiinside.com/kr/2019/01/23/magictbl-sns/

 

[데이터로 보는 마케팅 인사이트] SNS 마케팅, 이것만은 꼭! 지키자

소셜미디어 마케팅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들    소셜미디어, ...

www.mobiinside.com

 

 

마케팅에서도 사실 회사의 제품(혹은 서비스)가 B2B이냐 B2C이냐 에 따라서도 하는 업무가 굉장히 달라지는데요.

제가 위에 말했던 마케팅 종류는 거의 B2C 타겟에서 일어나는 활동들이라고 보시면 되요.

난이도를 나누기에는 애매하지만 개인적인 구직경험으로는 브랜드마케팅이 특히 유명 브랜드일수록 들어가기 어렵고 일도 많았습니다.

(연봉은 케바케였습니다. 연봉에 대해서는 조만간 따로 또 정리를 해볼까해요.)

상대적으로 디지털마케팅이나 바이럴 마케팅은 대행사 기준 브랜드(본사) 보다는 들어가기 쉬웠지만 그만큼 물경력(?)이 되기 싶다고 생각하는것 같아요. 물론 이것도 본인이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마케팅 직무에 필요한 자격증 혹은 스펙과 성향에 대해서 포스팅해볼까해요.

그리고 언젠가는 마케터로서의 저의 스토리도 조금씩 풀어볼까합니다. 마케팅 직업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덧글 달아주세요!